1001bit pro 네 번째 시간입니다.
Array에 관련된 내용이 주가 이룰 것 같습니다.
첫 번째 시간에 배웠던 divide selected edge와 형태만 다를 뿐 똑같습니다.
▲ 21. Automatically slope or create a sloping path with fixed gradient from selected edges
선을 경사를 만드는 툴입니다.
선 선택 - Slope 클릭 - 경사 높이 지정 - slope edges
Distance on plan - 전체 선의 길이를 나타냄
Height - 선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경사 높이
Angle of slope - 경사도
Gradient 1 to - 기본값으로 둡니다.
Draw new sloping edges - 기존 선을 유지
Move vertices on selected edges - 기존 선을 이용해서 경사로를 만듦
여러 옵션이 있는데 실제적으로 Height정도 알면 될것 같습니다.
여러 강의를 봐도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한 설명이 없네요...
![]() |
![]() |
▲ 22. Different scaling tools
비율 조정 하는 툴입니다.
총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1. 객체 선택 - Scaling functions 0 - next - Scale factor [값 입력] - 꼭지점 클릭
객체 전체를 일정한 비율로 확대 축소 합니다.
2. 객체 선택 - Scaling functions 1 - next - Scale factor x,y,z [값 입력] - 꼭지점 클릭
객체 전체를 지정한 값의 비율로 확대 축소 합니다.
▲ 22. Different scaling tools
3. 객체 선택 - Scaling functions 2 - next - P1점 (기준점) -P2점 - P3점 (확대 축소 할 위치)
객체 전체를 일정한 비율로 확대 축소 합니다.
![]() |
![]() |
▲ 23. Create array of groups / components in linear direction
그룹 / 컴포넌트를 선 위에 정렬 하는 툴입니다.
- 1. Place entities at both ends
선의 양 끝점을 중심으로 분할
그룹/컴포넌트 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 선택) - P2 (선의 시작점) - P3 (선의 끝점)
-2. Place entities at middle of each segments
분할 칸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객체 정렬
그룹/컴포넌트 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 선택) - P2 (선의 시작점) - P3 (선의 끝점)
![]() |
![]() |
▲ 23. Create array of groups / components in linear direction
- 3. Setting out from middle point (entity on middle point)
선의 중심과 객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입력한 값을 정렬
그룹/컴포넌트 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 선택) - P2 (선의 시작점) - P3 (선의 끝점)
- 4. Setting out from middle (Spaced from middle point)
선의 중심과 입력한 값의 중간 값을 기준으로 정렬
그룹/컴포넌트 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 선택) - P2 (선의 시작점) - P3 (선의 끝점)
![]() |
![]() |
▲ 23. Create array of groups / components in linear direction
- 5. setting out from start point
선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입력한 값 만큼 정렬
그룹/컴포넌트 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 선택) - P2 (선의 시작점) - P3 (선의 끝점)
- 6. Evenly distributed entities spacing does not exceed
입력한 값 이내에서 정렬하는 툴
그룹/컴포넌트 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 선택) - P2 (선의 시작점) - P3 (선의 끝점)
![]() |
![]() |
▲ 24. Create 2 dimensional array of groups/components in linear direction
가로 세로 사각형(사다리꼴)으로 생성할 객체의 수와 간격을 지정해서 정렬하는 기능입니다.
객체 선택 - Rectangular Array - 옵션선택 - P1 (객체의 기준점) - P2 (정렬의 시작점) - P3 (축 방향) -P4(축 방향)
[축이 틀어지면 틀어진 모습 (사다리꼴) 그대로 정렬이 됩니다.]
- Column distance 행.. 쉽게 X축이라고 하겠습니다. 객체간의 거리 입력
- Number of Columns 행으로 정렬될 객체의 갯수
- Row distance 열.. 이해하기 쉽게 Y축이라고 하겠습니다.
- Number of Row 열로 정렬될 객체의 갯수
▲ 25. Create array of groups/components in circular direction
원형으로 생성할 객체의 수와 간격을 지정해서 정렬하는 기능입니다.
객체 선택 - Polar array - 옵션선택 - Create array - P1 (회전축의 시작점) - P2 (회전축의 끝점)
- Polar array angle - 회전값
- Number of entities - 정렬할 객체의 수
- Total distance along center axes 정렬 높이 값
![]() |
![]() |
▲ 25.
-ex1)
Number of entities - 정렬할 객체의 수 4 입력
-ex2)
Polar array angle - 회전값 360
Number of entities - 정렬할 객체의 수 12
Total distance along center axes 정렬 높이 값 2400
▲ 25.
-ex3)
객체의 방향에 따라 모양도 바뀝니다.
▲ 26. Create array of groups / components along selected path
- 객체를 경로에 따라 정렬하는 방법입니다.
객체선택 / 경로선택 - path array - 옵션선택 - build array - P1 (객체의 기준점) - P2 (경로의 시작점)
(path array 옵션 내용은 위의 Array와 같습니다.)
어느덧 1001bit 루비의 중반부를 지나고 있습니다.
조금만 더 힘내면 끝이 보일것 같습니다.🤣
여기 까지 따라 오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.👍
'RUB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6.스케치업-루비강좌 1001bit pro 6 문,창문,루바,프레임 (0) | 2023.03.13 |
---|---|
25.스케치업-루비강좌 1001bit pro 5 벽체 계단 (0) | 2023.03.10 |
23.스케치업-루비강좌 1001bit pro 3 (0) | 2023.03.06 |
22.스케치업-루비강좌 1001bit pro 2 (0) | 2023.03.03 |
21.스케치업-루비강좌 1001bit pro (0) | 2023.03.01 |